일요일 (공휴일) : 휴진
055-256-5610
올록볼록한 종아리, 골육종일까? [1분 Q&A]
q. 운동을 하다가 오른쪽 다리가 바깥으로 꺾인 적이 있습니다. 이후 정강이뼈를 건드리거나 오래 걷는 날은 무릎 연골 부분과 무릎 아랫부분에 계속 통증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정강이뼈 사이에 울퉁불퉁한 알맹이 같은 것이 만져지고, 누르면 움직이기도 하는데요. 이런 증상들이 골육종이 아닐지 걱정되어 질문드립니다. 혹시 골육종이라면 치료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안녕하세요. 외과 전문의 이이호(창원파티마병원)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은 골육종의 대표적인 증상 중 일부와 유사합니다. 골육종은 뼈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뼈의 통증, 부종, 압통, 뼈의 변형, 발열,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골육종의 경우, 뼈의 울퉁불퉁한 부분을 만졌을 때, 뼈가 딱딱하거나, 뼈와 뼈 사이에 알맹이 같은 것이 만져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골육종은 뼈가 전이되는 경우도 있어, 무릎의 통증이나 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골육종이 아닌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무릎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건염, 괴사성 근막염, 근육통 등의 질환에서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x-ray, ct, mri 등의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골육종 또는 다른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골육종은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며, 수술 외에도 다른 치료 옵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치료 방법이 가장 적절한지는 종양의 크기, 위치, 종류, 환자의 건강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의사와 상담한 후 결정되어야 합니다. 아래에는 골육종의 치료 옵션 중 일부를 나열해 보겠습니다.
1. 수술: 골육종이 작고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있을 경우,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크기가 크거나 주변 조직에 침범한 경우에도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재건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2. 방사선 치료: 골육종을 제거하거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방사선 치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로 수술 전후 또는 수술 불가능한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3. 화학 요법: 골육종을 치료하기 위해 항암 약물을 사용하는 화학 요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주로 골육종이 전신으로 퍼져있거나 수술로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 고려됩니다.
4. 대상 치료제: 특정한 분자나 유전자 변이를 대상으로 하는 약물을 이용한 치료 방법입니다. 개인의 유전자 변이와 종양의 특성을 기반으로 선택되며, 효과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5. 감시 및 관리: 모든 골육종이 즉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없거나 미약한 경우, 종양의 성장을 주시하고 의사와 함께 적절한 타이밍에 치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6. 임상시험 참여: 새로운 치료법이나 치료법의 조합 등을 연구하기 위해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것도 옵션일 수 있습니다.
각 환자의 상황은 다르기 때문에, 치료 방법을 결정할 때는 의사와의 상담이 매우 중요합니다. 종양의 특성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하는지는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